Reading Record/Success

【책 정리】회사에서 꼭 필요한 최소한의 숫자력

카킹치킹 2021. 12. 22.

시작일: 21.12.22

완독일: 21.12.22

평점: ★★★☆☆

 

 

[이 책에서 생각하는 '숫자력'을 위해서는 다음 3가지를 습관으로 삼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.

  1. 파악 능력: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는 힘
  2. 구체화 능력: 사물을 구체적으로 생각하는 힘(발상 능력으로도 연결된다.)
  3. 목표 달성 능력: 목표를 달성하는 힘]

[관리자뿐만 아니라 일을 잘 못하는 사원에게도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. 바로 숫자의 자릿수를 곧잘 착각한다는 것이다.]

 

[숫자력이란 단순히 숫자를 능숙하게 다루는 능력뿐만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넓히고 사물을 논리적으로 추리하고 파악하기 위한 도구인 동시에, 자신의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도구다.]

 

[전체 기업 중 50% 이상, 회사원의 50%는 자신이 다니는 회사의 매출액을 알지 못한다.

->(개인적인 생각) 알아보고 기억하기

 

[매출액을 계산할 때 1엔 단위까지 정확하게 기억하려고 하기보다는 맨  앞의 큰 액수 몇 억 엔이나 몇 천만 엔 정도만 파악해 놓으면 실전에서 많은 도움이 된다.(자릿수를 실수하지 않는다면 처음 두 자리만으로도 충분하다.]

 

[예를 들어 1개에 120엔짜리 음료수를 자판기를 통해 30엔에 팔고 있다면 순식간에 동이 날 정도로 잘 팔릴까? 대답은 'NO'이다. 사람들은 그저 "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물건일 거야."하고 의심할 뿐이다.]

 

 

[숫자력을 높이는 5가지 습관

  • 중요한 숫자를 기억한다.
  • 정점 관측을 한다.
  • 부분으로 전체를 추측한다.
  • 숫자의 연관성을 파악한다.
  • 언제나 숫자로 생각한다.]  

 

[다음의 숫자를 알고 있는가?

  • 일본의 GDP: 
  • 일본의 인구: 
  • 미국의 인구: 
  • 한국의 인구: 
  • 미국의 GDP: 
  • 중국의 GDP: 
  • 세계 전체의 GDP: 
  • 세계의 인구: 
  • 일본의 일반회계 예산: 
  • 일본의 사회보장 예산: 
  • 일본의 현재 재정적자: 
  • 일본의 근로인구: 
  • 65세 이상 노인 인구: 
  • 우리 회사이 매출: 
  • 우리 회사의 영업이익: 
  • 우리 회사가 속한 업계 전체의 매출: 
  • 우리 회사가 속한 업계 전제의 평균 영업이익률: 
  • 우리 회사의 직원수: 
  • 우리 회사의 비정규직 직원수: 

그냥 읽고 지나치지 말고 하나하나 대답할 수 있도록 노력해보자.]

 

[진심 어린 충고 한마디를 한다면 직장인이라면 경제신문 구독은 필수다.]

 

[구체적인 훈련법.

  1. 매일 정해진 시간에 체중계에 올라가 몸무게를 재고 그것을 일기나 달력에 기록한다.
  2. 1년 전 몸무게와 비교하여 문제점을 생각한다. (3년 단위로 기록할 수 있으면 더 좋다.)
  3. 월요일자 경제신문에 실린 몇 가지 경기지표 숫자를 매주 체크한다.(처음에는 형광펜으로 표시)
  4. 3에 관련된 기사가 있으면 반드시 읽어본다.(사소한 기업의 동향이나 단순한 사실, 수치 등을 소개한 기사도 빠뜨리지 않는다.
  5. 이 숫자에서 '기준'과 '가설'을 생각한다.]

[

 

 

[모르는 단어 정리

 

GDP: Gross Domestic Product의 약자로 '국내총생산'을 말한다.

나무위키 참조

국민총생산: 일정 기간 동안 국내에서 생산된 부가가치의 총액

나무위키 참조

부가가치:  '매출-매입'

닛케이 평균 주가: 대표적인 종목 225개의 평균치.

댓글